회사명 | 테이블매니저(주) | |
---|---|---|
대표자 | 최훈민 | |
산업분야 | ICT서비스 | |
기술분야 | 인공지능/빅데이터 | |
주요제품 | 레스토랑 및 병의원 예약관리 솔루션, 수요예측AI | |
홈페이지 | http://www.tablemanager.io/ | |
사업장 소재지 | 서울시 성동구 |
회사설립일 | 2017-05-08 | 총괄책임자 | 이재근 |
---|---|---|---|
회사소개 | 테이블매니저는 기존에 수기장부 등을 이용하여 비효율적으로 예약 및 고객관리를 하고 있던 예약처(식당, 레저, 애견, 병의원 등)에 예약관리솔루션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디지털 전환을 돕고, 예약관리솔루션을 통해 수집된 예약 및 고객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약을 원하는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예약을 중개해주는 플랫폼 비즈니스임. 이렇게 디지털 전환을 통해서 수집된 21,772,855건의 데이터(22Y 1Q 기준)를 AI를 통해 분석하여, 예약처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 AI를 개발하여 21년 특허 등록하였고, 수요예측 AI를 상용화 하여 예약처의 빈자리를 할인 판매하는 ‘예약상품권’ 서비스를 20년 12월 런칭하였고, 마찬가지로 예약 및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타겟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예약처의 매출을 증대시켜주고 있음.(22Y 1Q 기준 2,797,471,540원 매출 증대 기여) 2022년 현재 국내 유명 파인다이닝 레스토랑과 법인 레스토랑 등 2,000여개의 고객사를 확보하였고, 다양한 플랫폼(네이버, 카카오, 구글, 카드사, 통신사)과의 제휴 및 공동사업을 통해 예약 서비스를 자사 플랫폼과 연동하였음. 현재 테이블매니저는 기존 레스토랑을 중심 서비스 제공을 넘어서 예약이 가능한 다양한 업종(레저, 애견, 병의원 등)으로의 확장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관광, 문화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하고자 함. |
||
보유 제품 및 서비스 | ■ 기존의 수기장부를 대체하여 디지털 전환을 이루어낸 ‘테이블매니저’ 예약관리 솔루션 - 솔루션과 통신3사와의 API연동을 통하여 전화가 왔을 때 고객 번호를 솔루션 상에 띄워 줌으로써 전화 응대 전 고객의 정보를 미리 보여줌 - 외식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최근 4년간 3,000여건의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예약금 관리 기능, 입장/퇴장 기능, 캘린더뷰 기능, 리포트 기능 등을 추가함 - 이를 바탕으로 누적 예약 건수(8,082,938건), 누적 온라인 예약 건수(1,510,390건), 유료 매장 수, 솔루션 매출 국내 1위 (22.03)등의 성과를 만들어냄. ■ 실시간 온라인 예약 및 다양한 채널과의 연동이 가능한 ‘더예약 API’ - 온라인 예약 채널에 예약가능 시간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즉시 확정된 예약 내역을 테이블매니저 솔루션 상에 반영함 - 높은 사용성으로 인하여 모든 예약을 즉시 솔루션에 반영하기 때문에 고객에게 실시간 예약가능여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이 온라인 예약을 시도하는 중에도 ‘예약중’이라는 상태로 솔루션에 반영되기 때문에 오버 부킹의 염려가 없음 - API 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채널(네이버예약, 카카오톡, 구글예약, 삼성카드, BC카드, KB카드, SKT)에서도 실시간으로 예약이 가능하게 함 - 이를 통해 사업자는 다양한 채널에서 예약을 접수해도 업무의 양이 늘지 않고 신속하고 편하게 예약을 인입 받을 수 있음 - 이는 외식산업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이 가능하여, 현재 레저(오산버드파크, 아산스파비스 등), 애견, 병의원(한의원 등), 공공(대한법률구조공단) 등에서도 서비스를 이용 중에 있음. ■ 수요예측 AI 기반 빈자리 할인 판매 ‘예약상품권’ - 누적된 약 2,200만 건의 예약/고객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7일 전에 미리 수요를 예측하는 AI를 개발하였고, 국내 최초로 상용화 하였으며, 유일 서비스 중(22년 4월 기준 정확도 86% 기록) - AI로 빈자리를 예측해 할인율을 극대화한 ‘예약상품권’을 통해 외식산업 마케팅의 온라인화를 성공시켰음. - 수요예측AI로 빈자리가 예측되는 경우, 할인해 예약상품권을 판매하고 빈자리에만 예약을 받음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는 모델. - 출시 후 14개 브랜드에서 약 29억 원의 판매액 달성(월 평균 2.2억)하였음. |